안녕하세요 it정보를 알려드리는 한실장 블로그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수리 의뢰를 빨리 마치고 돌아왔네요 ㅎㅎ 이번시간에 알아볼 내용은 cpu 쓰레드 확인 방법인데요 컴퓨터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cpu 코어와 쓰레드 차이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도 물어보시는데요 아래 그림 설명을 통해서 차근차근 알려드릴테니 쭉 따라와 주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일반적으로 조립 컴퓨터를 구매하실때 cpu 부품에 대해서 보게 되는데요 흔히들 i3 , i5 , i7 제품군은 알고 있지만 각각 몇개의 코어와 쓰레드로 구성되어 있는지 헷갈리시는 분들도 많은것 같네요 ㅠㅠ 아래 간단한 예를 통해 이해해 보면서 알아가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물론 코어와 쓰레드가 높으면 높을 수록 좋다는 사실을 모두다 아시겠죠 코어를 사람의 머리라고 한다면 쓰레드는 하이퍼쓰레딩 기술을 통해서 놀고있는 프로세스에 일을 할당해서 일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코어에 해당하는 머리에 두개의 손을 만들어줬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머리가 1개 늘어나면 쓰레드는 당연히 손에 해당하니 2개씩 늘어나게 되겠죠 그래서 2배씩 늘어난다 보시면 됩니다^^ 이제 이해가 잘 되시나요?
물론 i3 라고 해서 무조건 코어가 2개이고 i5이라고 해서 코어가 무저건 4개인것은 아닙니다 세대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는 만큼 하이퍼스레딩 기술 적용 유무에 따라서 쓰레드가 늘어날수도 있고 코어숫자와 같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물론 코어숫자와 쓰레드수가 같다는 말은 하이퍼스레딩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다는 소리겠지요 ㅎㅎ
자 이제 본격적으로 cpu 쓰레드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윈도우키를 눌러서 msinfo32 라고 입력해주시고 엔터를 누르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위와 같은 시스템정보 창이 뜨게 되는데요 위에 보시게 되면 프로세서 항목에서 cpu 제품명과 클럭속도 , 코어 , 쓰레드 (논리 프로세서) 항목을 확인해주실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i7-5820K 6코어 12쓰레드 제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죠 ㅎㅎ 위에서 설명드린데로 6코어 2배수인 12쓰레드가 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cpu 사용량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작업 관리자창으로 들어가주시면 더욱 자세하게 확인해 주실 수 있습니다 작업표시줄에 마우스 우클릭 하시거나 키보드 단축키 Ctrl + Alt + Del 키를 눌러서 작업관리자 창으로 들어가시면 위와 같은 창을 보실 수 있는데요 성능 탭에서 cpu 코어 , 쓰레드 확인을 해주실 수 있습니다
또 리소스 모니터 버튼을 눌러서 CPU 코어별 , 쓰레드의 각각 사용량이 어떻게 되는지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코어와 쓰레드 차이
그럼 과연 코어와 쓰레드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앞서 말씀드린데로 코어는 사람의 머리에 해당한다면 쓰레드는 두개의 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쓰레드는 실제 코어는 아니더라도 마치 코어가 늘어난 효과를 볼 수 있게끔 일처리 효율을 높이는 것을 말하는데요 어디까지나 가상 코어역할을 하는 만큼 다중 작업을 진행 할때 빛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다중 작업이라함은 멀티 테스킹이나 렌더링 , 인코딩 같은 cpu 연산이 많이 필요로 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이겠지요 ㅎㅎ 물론 이런 전문적인 작업을 하지 않으시다면 굳이 쓰레드가 높은 제품을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게임을 하시는 분들도 쓰레드와 관련해서 많은 실험을 한바가 있었지만 딱히 쓰레드가 많다고 해서 높은 프레임을 보인것은 아니였으니까요~ 다만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함께 돌리는 경우가 많으시다면 고려해볼만한 내용입니다
이상으로 cpu 쓰레드 확인 방법과 코어 및 쓰레드 차이점 및 특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제 블로그를 검색해보시면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으니 한번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겁니다~ 그럼 오늘도 유용한 정보 되었길 바라면서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